재료공

  1. 석유를 원료로 하여 얻은 스틸렌모노마(액체)를 중합하여 발생하는 폴리스티렌(고체)과 첨가된 발포제를 주원료로 하는 EPS를 사용한다.
  2. EPS의 단위체적중량은 제조시의 발포배율에 따라 결정되나 본 과업에서는 EPS의 종별에 관계없이 20,25 kgf/m³의 단위체적중량을 갖는 EPS로 시공 한다.
  3. EPS원료에 있는 폴리스틸렌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의 하나이므로 고온에서 수지자체가 연화되어 팽창 또는 수축 등의 변형이나 강도저하를 발생시키지 않는 온도범위(-40~60℃)내에서 사용 되어야 한다.
  4. EPS는 태양의 자외선에 의해서 쉽게 변색되므로 태양빛이 직접 노출되는곳에서의 사용은 피하고 시트(Sheet)등으로 덮어서 보호해야 한다.
  5. EPS에 재하되는 하중은 각 EPS의 압축강도(5% 변형시)의 ½정도 이하가 되어야 한다.
  6. EPS의 포아송비는 압축변형이 탄성한계내에 있는 경우 0.10~0.15를 유지해야 한다.
  7. EPS의 시험은 KSM 3808,3881기준에 의거 시험해야 하며 밀도 및 압축강도시험은 시험편 개체의 시험결과가 품질기준의 규정을 만족하여야 한다.
  8. 시험은 200㎥ 반입시마다 1회이상 실시하여 품질은 확인후 사용해야 한다.
  9. EPS는 Gasolin 이나 Asphalt등과 같은 석유용매에 쉽게 용해되기 때문에 각별한 주위를 요한다.
  10. EPS 제조후 최소한 24시간이 경과한 다음 절단하여 사용하여야 한다.
  11. 블럭의 폭, 길이, 높이는 규정된 치수에서 허용편차가 5%를 넘지 않도록 한다.

준비공

본 과업에서는 성토에 의한 침하량을 최소화하고, EPS와 일반성토 접합부에서 발생될 부등침하를 억제하기 위해 계획 성토고까지 단계성토한 후 계측관리를 통해 잔류침하량이 10cm이내가 되도록 한후 EPS를 시공토록 한다. 
또한, 시공자는 매일 수시로 주변지반 및 교대의 침하, 균열 여부에 대하여 관찰 조사하여 문제점이 발생하였을 경우는 즉시 감리자에게 보고하여 그 대책을 수립한 후 공사를 진행시켜야 한다.

  1. 공사준비측량
    a) 시공자는 시공전에 설계도서와 현황 측량 도서상의 대지 경계선,지반고등 상이한 점이 발견될시에는 감독관 및  감리자와 합의 후 착공한다.
    b) 지형 및 구조물과의 연결이 복잡한 경우에는 EPS의 편집을 재고하거나 블록의 절단 EH는 굴착위치의 변경 등으로 사전에 EPS 설치에 지장이 없도록 한다.
    c) 가수준점(B.M)을 설치한 후 중심말뚝과 보조말뚝을 설치하여 시공지역에서의 종/횡단면과 시행방법을 점검한다.

  2. 기초지반조사
    재료삽입시의 트럭 및 중기의 원활한 운용을 위해서 사운딩 기계로 사전에 조사하여 필요한 신속한 조치를 취한다.

  3. 공사용도로
    a) 장내에 소운반로를 확보한다.
    b) 장외공사용 도로를 정비한다.
    c) 우회도로를 점검한다.

  4. 시공기계
    EPS공법의 특징은 커다란 기계를 필요로 하지 않으나 필요에 따라 굴착에는 백호를, 전압장치로는 타이어롤라를,     바닥 고르기에는 불도저를 그리고 콘크리트 타설을 위해서는 펌프차 등이 필요하다.

  5. 재료의 준비
    EPS 공법에서는 EPS를 결합시키는 연결장치 및 블록의 레벨을 조정하기 위한 모래, 배수를 확보하기 위한 쇄석 및 유공관 그리고 EPS를 유해물질로부터 보호하거나 필터재와 방수재로서의 시트등이 필요하다.

  6. 가설비,안전시설등
    a) 시공에 필요한 재료들을 저장할 저장장소가 필요하다.
    b) EPS 반입 트럭의 운반로에는 칸막이, 선반 등을 설치하여 차량과 작업원이 가능한 한 통과 하지않도록 한다

굴착공

  1. 굴착부는 지하수, 강우, 유입수가 고이기 쉬워 EPS가 쉽게 부상할 수 있기 때문에 배수에 특별히 유의하고, 시공은 건조한 상태에서 하도록 한다.
  2. 강우시에는 주변에서 유수가 유입되지 않도록 굴착부 주변에 흙부대를 쌓는다든지 도랑을 설치하고 EPS가 젖지 않도록 조치를 강구해야 한다.
  3. 휴일 및 장기간의 휴가시에는 물에 의한 문제점이 발생하기 쉬우므로 Pit 배수용의 수중펌프 및 강우 대책에 대한     검토를 실시하여 기기가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을 확인해야 한다.
  4. EPS는 가능한 한 각소단에 얹힐 수 있도록 배치한다.
  5. 작업중에 배수구를 설치하여 강우 및 유입수를 하부 배수구까지 이르도록 한다.
  6. 굴착저면은 작업공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고 평탄하게 마무리 한다.
  7. 절단부와 EPS와의 경계부는 용수 및 침투수의 배수를 고려하여 양질의 재료로 복원하고, 충분한 전압을 실시한다.
  8. 용수가 많은 경우에는 절단면에 배수용 시트를 설치한다.
  9. 비탈면 복토는 EPS 블록 설치후 전압장비를 사용하여 전압하여야 한다.

배수공

  1. 지하수위가 높은 장소나 물의 침입이 예상되는 장소에는 지하배수구 및  Drain Pipe 등을 설치하여 수위의 저하를 도모한다.
  2. EPS는 부력에 매우 약하므로 특히 배수처리에 유의 하여야 한다. 
  3. 침투수가 있는 경우 EH는 예측하지 않은 유입수가 있는 경우는 신속하게 배수할 수 있도록 주의한다.

기초공

  • EPS 설치 기초지반은 ±50㎜가 되도록 정지하고 10cm의 모래층으로 수평을 조정한다.

EPS 반입 및 가설비

  • EPS의 반입
    a) EPS 블록의 Lay-out 즉, 표준형상을 확인한 후 반입한다.
    b) EPS 설치개소 부근까지 운반찰를 유도할 수 있도록 반입로를확보한다.
    c) 시공높이의 조정부,곡선부,구조물과의 접촉부 등의 그 형상에 맞춰 가공한다.
    d) 각 저장소마다 재료 일람표를 작성한다.
    e) 재료의 일람표에 맞추어 현에의 납입일시,수량(형상,치수별)을 파악할 수 있도록 재료의 납입 공정표를 작성한다.

EPS 설치공

  1. 시공
    a) EPS설치는 인력으로 한다.
    b) EPS 시공중에 트럭외의 중기가 직접 EPS 위를 주행하는 일이 없도록 한다.
    c) 최하층 블록의 설치에 있어서는 단차가 생기지 않도록 시공한다.
    d) EPS 블록간의 틈(간격)은 설치 층마다 20㎜이내,단차는10㎜ 이내를 표준으로 한다.
    e) 최하층 설치시에 블록의 흔들림을 감지한 경우에는 모래등으로 미조정을 실시하여 다시 레벨링층의 바닥면을 조정한다.
    f) EPS를 부설모래위에 설치할 경우는 
    ①부설모래를 충분히 다지고, 
    ②부설모래가 지하수 등에 의해 포화상태 또는 습윤상태가 되지않도록 주의를 기울여서 마찰계수가 0.5이상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g) 설치중에 커다란 단차가 생기는 경우는 몰타르, 경량골재 등을채워조정한다.
    h) EPS의 접속부(이음) 부분은 3회이상 연속하여 겹치지 않도록 설치해야 한다.
    i) EPS와 일반 성토와의 접속부는 일정한 접속부를 설치한다.
    j) 비탈면 복토는 EPS 블록설치 후 전압장비를 사용하여 전압하여야 한다.

  2. 연결장치
    a) EPS 블록을 상호 배치하여 연결기구를 사용하여 일체화를 도모하고, EPS가 다층으로 쌓아 올려지는 경우에는 블록을 고정시킬 목적으로 중간에콘크리트 상판을 설치한다.
    b) 블록과 블록 사이에는 수평방향으로 어긋남을 방지하기 위해 연결죔쇄를 두어야 한다. (EPS 1㎡당 1개, 1㎥당 2개 이상)
    c) 가공블럭은 1블럭당 1개를 사용한다.

  3. 가공 및 절단
    a) EPS의 가공은 미리 설정한 재료표에 따라 공장에서 가공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b) 부득이 현장에서 가공해야 할 경우는 니크롬선 15V를 사용하여 실시한다.
    c) 연선와이어 이외에 Chain Saw 등을 사용하여 EPS를 절단가공할 수 있으나 이때는 절단분말이 많이 비산하기 때문에 각별한 주의를 요해야 한다.

콘크리트공

  1. EPS층의 상부에는 재하중의 분산 및 방호 등을 목적으로 하는 콘크리트 상판을 설치한다.
  2. 콘크리트 상판의 일축압축 강도는 240kg/㎠ 이상 되어야 한다.
  3. 시멘트는 조강시멘트를 사용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4. 콘크리트 타설은 원칙적으로 펌프로 다져넣는 것으로 하고, 표면의 끝손질은 나무재료 흙손으로 마무리한다

벽면공

  • EPS의 자립면을 1)자외선에 의한 변색, 2)화재로부터의 연소, 3)충격에 의한 파손 등 외부로부터 다양한 장애에 대해서 보호하기 위해 콘크리트 벽면을 설치한다.

법면공

  • 법면 구배는 1:1.5 보다 급구배로 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면, 피복토의 두께는 25cm이상으로 한다.

부대설비공

  1. 화기, 흡연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하고, 소화기를 EPS 50㎥ 당 1개를, 시공연장 100m당 1개를 저장소에 비치한다.
  2. 화기(용접불똥, 담뱃불, 기타 화원)을 근접시키지 않는다.
  3. 흡연은 지정된 장소에서만 한다.
  4. 소화기를 저장소에 EPS 50㎥ 당 1개를 시공장소에는 시공연장 100m당 1개를 배치한다.

대표적인 적용분야

  • 연약 지반상의 영토: – 침하 경감- 지반 대책 경감- 유지 관리 저감
  • 구조물 메우기 :- 최소한의 용지 확보- 벽면 구조물의 간소화
  • 교대 및 옹벽 뒷채움 : – 배면 측압 경감- 측방 유동압 경감- 단차 방지
  • 급경사지 성토 : – 활동에 대한 안전율 확보- 활동 방지 대책 공사 저감- 용지 확보 감소
  • 자립벽 : – 최소한의 용지 확보- 벽면 구조물의 간소화
  • 성토 및 조성지 확보 : – 기종 구조물의 영향 감소- 용지 확보 감소- 침하 방지
  • 재해 복구시 성토 : – 성토의 조기 복구- 가복구, 본복구로서 적용 가능
  • 매설관 기초 및  낙석 대책 : – 매설관 부통 침하 방지- 기존 구조물에의 하중 경감
  • 가설도로 : – 시공성 향상(공기 단축)
  • 경사지의 성토 : – 하중 경감에 따른 작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