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량 구조물 보수·보강 시스템
용 도 | 모형도 | 경 량 성 | 자 립 성 | 시 공 성 | 특 징 | 주요적용분야 | |
---|---|---|---|---|---|---|---|
성 토 | 성토 | ![]() | ![]() | ![]() | 침해저감. 유지관리비저감. 활동안전율확보. | 도로, 철도, 활주로, 조단지, 택지, 매립지, 공원 |
|
확폭성토 | ![]() | ![]() | ![]() | 하등침하의 방지. 주변의 영향완화. | 차선확폭. 용지확폭. 제방배면성토. |
||
확폭성토 (보호벽) | ![]() | ![]() | ![]() | ![]() | 토규구조물의 간이화. 용지의 유효이용. 활동안전율의 확보 | 차선확폭, 용지확폭. (조단지, 골프장, 공원, 주자장, 보도) |
|
구 조 물 배 면 성 토 | 교태내부 충·전 | ![]() | ![]() | ![]() | 구조물배면의 토압저감. 축방유동의 저감. 단차의 방지. | 교태배면, 구조물배면. 반지하구조물 |
|
자립벽 | ![]() | ![]() | ![]() | 침하의 저감. 기초대책의 경감. 용지의 절약. | 교태뒷채움성토. 교체교채부성토. |
||
옹벽 호안배부 충전 | ![]() | ![]() | ![]() | 구조물배면토압의 저감. 구조물안전율의 향상 | 옹벽, 호암 등 항토압 구조물 배면. |
||
기초 | ![]() | ![]() | ![]() | 침하의 저감. 부등침하의 방지. 기초의 일체화 | 매설관, 수로기초, 저층구조물 기초, 간이구조물 기초. |
||
구조물보호 | ![]() | ![]() | ![]() | 가설구조물에의 하중경감. 부등침하, 국분침하 방지. | 지하매설물의 보호. 가설구조물의 보호. |
||
중간충전복원 | ![]() | ![]() | ![]() | 구조물의 하중경감. 전압부족에의 대응. 공간확보. | 아치교, 대규모교각등의 내부충전. 중간부충전. 좁고 깊은 곳의 성토. |
||
확폭증축공사 | ![]() | ![]() | ![]() | ![]() | 급속시공. 간이시공. 가설구조물에의 하중경감. | Plat foam 확장. 증축공사, 옥상 조원성토. |
|
가설, 복구 | ![]() | ![]() | ![]() | 급속시공. 가속철거. 시공용이 공간확보. | 가설도로, 무대, 환경시설대성토, 재해복구 |
교량 구조물 보수·보강 시스템
